본문 바로가기
머니스토리

육아휴직 거부하면 어떻게 될까? 처벌, 대처법 총정리

by 작두동자 2025. 9. 6.
반응형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은 고민해보는 육아휴직. 하지만 회사에서 이를 이유 없이 거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이는 명백한 불법이며, 법적 처벌 대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육아휴직 거부에 따른 처벌, 근로자의 권리, 그리고 실제 대응 방법까지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육아휴직,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

근로기준법남녀고용평등법에 따라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부모라면 누구나 자녀가 만 8세 이하(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일 경우 최대 1년까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이를 이유 없이 거부할 수 없으며, 근로자가 원하면 반드시 허용해야 합니다. 특히 남성 근로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성별과 무관합니다.


육아휴직 거부 시 처벌 기준

만약 회사가 법적 요건을 갖춘 육아휴직 신청을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한다면 다음과 같은 처벌이 뒤따릅니다.

  • 고용노동부 신고 시 즉시 시정 명령
  • 시정 명령에도 불응하면
    ▶️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
  • 불이익 처우(해고, 전보, 감봉 등) 시
    ▶️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 관련 법령: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

 

남녀고용평등과일가정양립지원에관한법률

 

www.law.go.kr

육아휴직 거부
육아휴직 거부


육아휴직 거부가 합법인 경우는?

모든 회사가 무조건 허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회사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근속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 자녀가 만 8세 초과 또는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인 경우
  • 사업장에 긴급한 경영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매우 예외적인 상황 (하지만 매우 드문 사례)

▶ 자세한 기준 확인: 고용노동부 육아휴직 안내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했을 때 대처법

✅ 1단계: 회사에 공식 요청

  • 육아휴직 신청서를 내용증명으로 발송
  • 이메일 또는 문자로 기록 남기기

✅ 2단계: 고용노동부 신고

 

국민신문고

 

www.epeople.go.kr

✅ 3단계: 법적 절차 진행

  •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
  • 필요 시 민사소송, 형사고소 가능

고용노동부는 익명 신고도 가능하며, 처리 속도도 빠른 편입니다.


불이익이 두려운가요?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을 이유로 해고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것 역시 엄격히 금지됩니다.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이 강력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 복직 청구 + 임금 손해배상 청구
  • 불이익 조치 시 회사는 민형사상 처벌 대상
  • 원직 복귀 명령 + 최대 5천만 원 벌금

이처럼 법적으로 강하게 보호되므로 불이익을 감수할 이유는 없습니다.


결론: 주저하지 말고 당당하게 요구하세요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회사가 이를 이유 없이 거부하거나 불이익을 준다면 법적으로 강력히 처벌받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고용노동부, 노동위원회, 법률구조공단 등 공공기관의 도움을 적극 활용하세요.

회사 눈치 보지 말고, 가족과의 시간을 지킬 권리를 당당하게 찾으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셔도 됩니다.


👉 추가로 확인하면 좋은 정보

 

국민신문고

 

www.epeople.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