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메탈터치는 철골구조에서 기둥 이음부의 접합 품질을 높이기 위해 공장 가공된 부재 면을 정밀 연마·가공하여 상·하부 기둥을 밀착시키는 이음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상부에 작용하는 축력의 최대 50%까지 하부 기둥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습니다.
메탈터치의 정의 및 목적
- 정의: 기둥 접합면을 CNC 등으로 정밀 가공해 두 부재가 빈틈 없이 맞닿도록 하는 방식
- 목적:
- 축력 전달성 강화
기존 볼트·용접만으로는 전달이 어려운 축력을 부분적으로 직접 전달 - 구조 안전성 확보
가공·밀착도를 높여 접합부 변형·이음부 침하를 방지 - 시공 품질 표준화
공장 가공으로 일관된 품질 유지 및 현장 조립 시 오차 최소화.
- 축력 전달성 강화
메탈터치 적용 절차
1) 설계 및 치수 검토
- 도면상 이음부 위치·치수 확인
- 요구 축력량 산정 및 전달 비율 설정
2) 정밀 가공
- 접합면 평탄도 기준(예: 허용 오차 ±0.1mm) 설정
- CNC 머시닝으로 부재 면을 가공·연마
3) 현장 조립 및 점검
- 기둥을 위치에 맞춰 수직·수평으로 배치
- 현장 레벨기·정렬기를 이용해 미세 보정
- 접합부 틈새·밀착 여부 비파괴 검사(NDT) 등으로 확인
메탈터치의 장단점
장점
- 높은 축력 전달성: 최대 50% 축력 직접 전달로 구조 성능 향상
- 품질 일관성: 공장 가공을 통해 현장 오차 최소화
- 유지보수 용이: 접합부 변형·침하 모니터링이 용이
단점
- 가공 비용 증가: CNC 가공·정밀 검사 비용 발생
- 현장 시공 난이도: 정밀 조립을 위한 장비·숙련 인력 필요
- 납기·공정 지연 우려: 공장 가공 일정에 따른 공정 관리 필수
관련 기술 및 주의사항
- 스캘럽(Scallop) 가공: 용접 후 모따기를 통해 응력 집중 해소
- 엔드탭(End tap): 용접 비드 끝단 보조판 부착으로 크랙 방지
- KS·ASTM 기준 준수: 접합 면 거칠기·평탄도, 축력 시험 절차 등 표준 규격 확인
시공 전 반드시 설계사·품질관리팀과 협의하여 가공 치수·공차를 명확히 설정하고, 현장에서는 비파괴 검사 장비로 밀착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결론 및 전망
메탈터치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특히 고층·중대형 철골 구조물에서 그 효과가 탁월합니다. 향후 자동화 가공 기술과 스마트 품질 관리 시스템이 결합되면, 비용·시간 절감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건축시공비법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화피복검사의 법적 근거와 목적 (1) | 2025.08.13 |
---|---|
내화페인트란 무엇인가 (3) | 2025.08.12 |
스캘럽(Scallop)이란 무엇인가? (5) | 2025.08.11 |
STIFFENER(스티프너)란 무엇인가 (4) | 2025.08.10 |
테이퍼 강재 프레임(Taper Steel Frame)과 PEB 시스템의 이해 (2)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