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비법노트

내화피복검사의 법적 근거와 목적

by 작두동자 2025. 8. 13.
반응형

 

반응형

건축법 시행령 및 국토교통부 고시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내화구조 또는 준내화구조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때 뿜칠공법은 ‘내화피복’ 방식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화재 시 구조체의 온도 상승을 지연시켜 안전 대피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내화피복검사는 시공 후 내화성능이 설계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공정으로, 구조 안전성과 인명 보호를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뿜칠공법 개요 및 특징

뿜칠공법은 분말상 또는 액상 내화도를 함유한 내화재료를 압축 공기로 고속 분사하여 철골 표면 등에 피복층을 형성하는 기술입니다.

  1. 분말형 내화재료
  • 주원료로 경량 골재, 결합제(시멘트·알루미나포졸란), 가소제 등이 사용됩니다.
  1. 액상형 내화재료
  • 수분·결합제가 혼합된 슬러리 상태로, 균일한 피복층 형성이 가능합니다.
    뿜칠공법의 장점은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에도 균일한 두께로 시공할 수 있고, 현장 생산성이 높으며 내화성능 검증 데이터가 풍부하다는 점입니다.

 

검사 대상 및 준비사항

내화피복검사는 철골주탑, 보·기둥, 환기덕트 등 화재 시 붕괴 위험이 있는 모든 주요 구조 부재를 대상으로 실시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면 및 시공계획서 확인
  2. 내화재료 시험성적표·공인기관 인증서 확보
  3. 시공 완료 후 충분한 양생 기간(분말형 7일, 액상형 14일 이상) 확보
  4. 검사 장비(두께 측정기, 밀도 측정기, 경도시험기 등) 점검

내화피복검사의 법적 근거와 목적
내화피복검사의 법적 근거와 목적

내화피복검사 절차 상세

  1. 외관 검사
    • 균열·박리·기포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설계 두께와 편차 허용오차(±2㎜)를 점검합니다.
  2. 두께 측정
    • 비파괴식 초음파 장비 또는 물리식 측정 게이지를 사용하여 10개소 이상에서 피복 두께를 측정합니다.
  3. 밀도 및 경도 시험
    • 시공 샘플을 채취하여 시험실로 이송한 뒤, 내화재료의 흡수율 및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품질을 검증합니다.
  4. 접착력 시험
    • 인장 접착력기를 이용해 내화층과 기초 구조체 간 결합력을 확인하며, 최소 기준(0.15N/mm²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5. 최종 판정
    • 모든 시험 결과가 설계 기준 및 KS F 9001(내화피복재료) 표준을 만족하면 합격 처리합니다.

검사 기준 및 판정 방법

국내 표준 KS F 9001은 내화피복재료의 분말입도, 배합비, 압축강도, 인장응력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검사 결과는 다음 항목별로 판정합니다.

  • 표면 균열·박리·기포 없음
  • 평균 피복 두께 ≥ 설계값
  • 압축강도 ≥ 2.5MPa
  • 인장 접착력 ≥ 0.15N/mm²
    이외에도 내화시험(화재상태 모사) 성능시험 결과가 필요한 경우, 공인시험기관을 통해 2시간 내화성능 검증을 받도록 권장합니다.

현장 적용 시 유의사항

  1. 기초 구조체 표면 청소
    – 기름, 먼지, 녹 등을 완전히 제거해야 내화재료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환경 조건 관리
    – 기온 5℃ 이하, 습도 85% 이상인 경우 시공을 자제하고, 양생 중 물분무를 통해 균열을 방지해야 합니다.
  3. 시공 균질성 확보
    – 분사 압력, 호스 직경, 노즐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피복층 밀도가 고르게 형성되도록 합니다.
  4. 안전 관리
    – 분진 발생량이 많으므로 방진마스크·보호안경·보호복 착용을 의무화하고, 분진 비산 방지용 가림막을 설치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