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비법노트

내화페인트란 무엇인가

by 작두동자 2025. 8. 12.
반응형

 

반응형

내화페인트는 건축물의 구조재(철골·목재·콘크리트 등)에 도포하여 화재 시 표면에서 팽창층을 형성, 열을 차단하고 구조체의 온도 상승을 지연시키는 기능성 도료입니다. 일반 페인트와 달리 높은 내열성 및 팽창성을 지녀 건물 화재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 자재로 사용됩니다.

내화페인트의 주요 기능

열 차단

화재가 발생하면 내화페인트 표면의 발포제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다공성 팽창층(intumescent layer)을 형성합니다. 이 층이 열을 흡수·저장하며 구조재 온도 상승을 지연시켜 붕괴 시간을 확보합니다.

유해가스 저감

일부 친환경 내화페인트는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배출을 최소화하도록 개발되어, 실내 공기 질 관리에도 기여합니다.

부착력 및 내후성

콘크리트나 강재 등 다양한 재질에 균일하게 부착되며, 습기·자외선·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내화페인트의 종류와 선택 기준

수성 내화페인트

물에 용해되는 바인더를 사용해 친환경적이며 냄새가 적습니다. 실내 공간에 주로 사용되며, VOC 배출 규제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이 많습니다.

용제형 내화페인트

유기용제를 기반으로 해 발건성과 내수성이 뛰어납니다. 외부 구조물이나 습기 노출이 잦은 곳에 적합하지만, 환기가 필수입니다.

하이브리드 내화페인트

수성·용제형 장점을 결합한 제품으로, 부착력·내후성·친환경성을 균형 있게 갖추고 있어 범용 적용이 가능합니다.

내화페인트
내화페인트

시공 전·후 점검 사항

준비 단계

· 대상 구조재 표면의 녹·기름·습기 제거
· 표면 평활도(요철 상태) 확인 및 프라이머 도포 여부 결정

도포 단계

· 권장 도포 두께를 준수해 균일하게 칠하기
· 1회 도포 후 건조 시간(보통 2시간)을 지키고 추가 도포
· 온·습도 조건(최적 35℃, 상대습도 85% 이하) 유지

완료 후 검사

· 도막 두께 측정기(마이크로미터 등)로 표면 두께 확인
· 발포 시험(소형 화염시험)으로 팽창 성능 검증
· 표면 균열·박리 여부 육안 점검

실제 적용 사례

고층 철골 구조물

내화페인트 시공으로 법정 내화 등급(30분·60분·90분 등)을 확보하여 초고층 빌딩 화재 대피 시간을 연장합니다.

목조건축물 내부

수성 내화페인트를 활용해 목재 자체의 내화 성능을 보완, 설계 요구 화재 저항시간을 만족시키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유지보수 및 교체 주기

정기 점검

2~3년 주기로 도막 두께 및 부착력 확인, 손상 부위 보수 도장 권장

재도장

외부 환경(자외선·오염)에 노출된 부분은 5년 이내 재도장 필요. 실내 공간은 비교적 장기 유지가 가능하나 습도나 충격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관리

폐기·교체

제품별 유효 사용 기간(통상 10년)을 준수하고, 법정 점검주기에 맞춰 교체 계획을 수립합니다.

마무리

화재 안전 설계에서 내화페인트는 경제적인 방화 대책으로 건축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설계 초기부터 내화 등급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적절한 제품 선택과 시공·유지보수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화페인트 도입으로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한 건축 환경을 구축하세요.

반응형